반응형
함수는 코드를 저장했다가 재사용하는 것으로, 같은 작업을 반복하지 않고 코드 작업한 것을 나중에 다시 사용하고 싶을 때 이용한다. 다시 말해 함수는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호출할 때 유용하다.
함수의 특징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하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코드를 한 군데 모아두고 호출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def thing()
print('Hello')
print('World')
Output:
thing() -----> Hello
World
def는 정의된 함수로서 위에서는 thing()으로 명명하면 코드를 생성하여 기록한다
즉 저장과 재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내장 함수
파이썬에는 이미 정의된 함수들이 있다. 내장 함수들은 아래와 같다.
print("Hello World")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는 함수
input( ) 괄호 안의 사용자 입력값을 받는 함수
float( ) 괄호 안의 값을 float로 변환하는 함수
int( ) 괄호 안의 값을 int로 변환하는 함수
함수의 장점
재사용성: 코드를 한 번만 작성하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조직화: 코드가 더 깔끔하고 관리하기 쉬워진다.
모듈화: 큰 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로 나눠서 더 쉽게 디버깅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다.
반응형
'IT > Python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문 (try / except) (0) | 2024.11.18 |
---|---|
Python 비교 연산자, 들여쓰기 (2) | 2024.11.15 |
파이썬 (Type, input 함수, 주석) (0) | 2024.11.14 |
파이썬 List <공부 노트> (0) | 2024.11.02 |
파이썬 range 사용법 (0) | 2024.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