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업무스터디/알아두어야 할 Law75

계약 - 계약 자유의 원칙 계약이란 당사자 사이에 일정한 목적을 위한 반대되는 방향의 의사의 합치라고 정의된다. - 계약에는 서로 대립하는 의사표시를 하는 당사자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사표시는 본인 외에 대리인에 의할 수도 있다. 흔히 채권계약에서의 청약과 승낙의 합치로 이루어지는 법률행위를 말한다. 근대민법의 3대 원칙 1. 소유권절대의 원칙 2. 과실책임의 원칙 3. 사적자치의 원칙---> 개인의 사법관계를 각자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으로 그 핵심은 계약자유의 원칙이다. 계약자유의 원칙의 내용 1. 계약체결의 자유 --> 청약의 자유와 승낙의 자유를 의미한다. 2. 상대방선택의 자유 --> 누구를 상대방으로 하여 체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자유, 그러나 공공적, 공익적 직무수행자는 정당한 사유 .. 2023. 3. 14.
용도지구 용도구역 분류 이번에는 부동산 공법의 용도지구 및 용도구역의 분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용도지구는 크게 9개로 분류되는데 앞글자로 암기하면 경, 고, 방/ 방, 보, 취 / 개, 특, 복으로 암기할 수 있다. 또한 제37조 제2항에 따라 다시 세분하면 경관지구는(자연, 시가지, 특화) 방재지구는 (시가지, 자연), 보호지구는 (역사문화환경. 중요시설물, 생태계), 취락지구는 (자연, 집단), 개발진흥지구는 (주거, 산업유통, 관광 휴양, 복합, 특정)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용도지구에서 용도지구별 행위제한은 조례로 정할 수 있는데, 예외적인 것으로는 먼저 고도지구는 도시군관리계획에 의하며, 방화지구는 건축법에 의한다. 또한 대통령령에 의한 것으로는 취락지구, 개발진흥지구, 복합용도지구가 있다. 용도구역은 5가지가 있는데.. 2022. 8. 13.
처분기준의 설정 및 이유부기 이번에도 행정절차법을 중심으로 대략적인 법규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행정청이 행하는 처분이란 행정절차법 제2조 제2호에 규정하고 있는데 행정청이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 집행으로서의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와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을 말한다고 되어 있다. 처분을 함에는 처분의 기준 설정, 처분의 이유부기 등의 절차를 따라야 하는데 법 제20조에서는 처분기준의 설정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처분기준이 법률에 규정되어 있을 때 그 처분기준을 위반하면 위법한 처분이다. 반면에 처분기준이 행정규칙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법한 처분이 된다. 그러나 행정법의 일반원칙을 위반한다고 판단되면 그 처분의 위법성을 다툴 수는 있다. 처분을 할 때에는 처분의 이유 제시를 하여야 하는데 처분의 근거가 된 법적,.. 2022. 8. 11.
행정절차론 당사자 등 아래에서는 행정절차론을 법규정을 중심으로 그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행정절차론 제2조 제4호에서 정의하는 당사자 등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행정청”이란 행정에 관한 의사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또는 그밖에 법령 등에 따라 행정권한을 가지고 있거나 위임 또는 위탁받은 공공단체 또는 그 기관이나 사인(私人)을 말하며, “처분”이란 행정청이 행하는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 집행으로서의 공권력의 행사 또는 그 거부와 그 밖에 이에 준하는 행정작용을 말한다. 법 제9조에서는 행정절차에서 당사자 등이 될 수 있는 자로 자연인, 법인, 법인이 아닌 사단 또는 재단, 그 밖에 다른 법령 등에 따라 권리ㆍ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일례로 처분에 관한 권리 또는 .. 2022.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