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스터디/tool

검색엔진 최적화의 기본 개념

by hkchief 2022. 3. 28.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 애드센스를 통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낯선 용어들이 등장하는데, 이와 관련된 온라인 마케팅의 기본적인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다.

 

먼저 온라인 기반의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검색엔진 최적화(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와 친숙해질 필요성을 느껴서 정리해 본다.

 

SEO란 요약하면 사이트에 많은 트래픽을 얻을 목적으로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콘텐츠 상위 노출을 위한 최적화라고 이해하였다.

 

사실 키워드 광고(PPC)와 같이 SEO 이외의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그러나 키워드에 따라 단가도 제각각이고 단적으로 유료라서 광고비의 부담이 크다. 

 

반면에 SEO는 외부업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진행한다면 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 이러한 SEO를 통해 웹사이트를 효율화되려면 일반적으로 다음을 주의해야 한다.

 

- 의도적인 단어의 키워드 반복

- 주제와 맞지 않는 키워드의 나열

-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무의미한 복사와 붙여 넣기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구글 검색 결과 순위에서 밀리거나 삭제될 위험이 있다.

 

구글은 검색한 키워드만 결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관련된 콘텐츠 중에서 적합성과 질이 양호하다고 판단하는 문서를 보여준다. 또한 검색 결과에서 보이는 사용자의 검색 행동을 AI가 파악해서 정확하고 품질이 높은 가치 있는 콘텐츠 문서나 웹사이트를 상위로 노출시킨다고 한다.

 

예를 들어 intitle:"찾고자 하는 key word"(특정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문서 검색법)를 넣어도 비슷한 관련 키워드가 먼저 노출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최적화를 위해 먼저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에 URL을 제출하면 웹페이지가 검색 결과에 게재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먼저 서치 콘솔에 rss와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되는데, 이 중 사이트맵(sitemap)은 책의 목차와 같은 역할로 모든 페이지의 목록을 나타내는 것으로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 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웹사이트를 색인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는 것이 sitemap.xml이다.

 

구글 서치 콘솔과 만약 국내용이라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rss와 사이트맵 제출 항목을 클릭하여 제출하면 된다. 

 

또한 서치 콘솔에서 색인 생성이 필요한데 url검사를 통해서 만약 색인 수집이 안되어 있다면 색인 요청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site:https://www.aaa.com/하위 URL 형식으로 검색하면  페이지별로 수집된 색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흔히 검색이 되는 과정은 AI 로봇이 웹문서에 접근하여 수집하는 과정(크롤링)으로 진행된다고 하는데,  크롤링은 googlebot(Google 크롤러의 일반적인 이름)이 웹사이트 페이지를 방문하여 구글 색인에 추가하는 과정이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는 어떤 페이지를 구글이 수집했는지 알 수 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실적 항목을 보면 나오는데, 아래와 같은 항목으로 파악할 수 있다.

 

총 클릭수는 구글 검색에서 총 몇 번의 클릭이 발생했는지 측정한 것이다.

총 노출수 :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 총 몇 번 노출되었는지를 측정한 것으로, 만약 문서가 뒤쪽(2~3번째 페이지)에 있고 검색자가 첫 번째 페이지만 본다고 가정한다면 노출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평균 CTR(클릭률)은  (클릭수÷노출수) × 100으로 계산되며, 노출 대비 클릭 발생비율을 말한다.

 

평균 게재순위는 검색 결과 순위 중 최상위 결과의 평균 게재순위를 말한다. 

 

색인 생성 범위는 오류, 유효, 제외됨 등으로 현황을 알 수 있게 제공되어 있어서 생성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만약 기본적인 HTML을 다룰 줄 알면 애드센스 광고 코드, 네이버나 구글의 검색 meta태그를 웹사이트 Head 태그에 넣는 과정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타디스크립션(meta description) 작성은 웹페이지에 대한 요약 즉, 웹사이트의 주제를 문장을 사용해 전달하는 것인데 웹사이트의 주제를 알 수 있어서 검색보다는 클릭률에 도움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