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스터디/tool

24절기 알아보기

by hkchief 2022. 3. 27.
반응형

절기는 지구 태양 공전을 12등분으로 나누어 배분한 것으로 대설의 절기 시점부터 한 해가 시작된다는 일부의 견해도 있으나, 다수의 견해는 한 해의 시작은 입춘(양력 2월 4일경)으로 한다고 한다. 

 

즉, 동양의 달력으로는 흔히 1월 1일이 한해의 시작이 아니고, 입춘일이 한해의 시작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은 24절기인데 각 절기의 시작 날짜는 양력이며 정확한 날짜를 기재한 것이 아니라  ~경을 뜻한다. (예 : 2/4일경)

 

입춘(立春) 2/4, 우수(雨水) 2/19, 경칩(驚蟄) 3/6,  춘분(春分) 3/21, 청명(淸明) 4/6, 곡우(穀雨) 4/20 

입춘에 봄이 시작되며 봄의 계절이다.

 

입하(立夏) 5/5,  소만(小滿) 5/21, 망종(芒種) 6/6,  하지(夏至) 6/21, 소서(小暑) 7/7, 대서(大暑) 7/23

입하에 여름이 시작되며 여름의 계절이다.

 

입추(立秋) 8/7,  처서(處暑) 8/23, 백로(白露) 9/8,  추분(秋分) 9/23, 한로(寒露) 10/8, 상강(霜降) 10/23

입추에 가을이 시작되며 가을의 계절이다.

 

입동(立冬) 11/7, 소설(小雪) 11/22, 대설(大雪) 12/7, 동지(冬至) 12/22, 소한(小寒) 1/5, 대한(大寒) 1/20

입동에 겨울이 시작되며 겨울의 계절이다.

 

 

각 절기일의 간격은 약 15일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절기는 주로 농사짓는 일에 사용되었다고 하며, 특히 4계절이 뚜렷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계절의 순환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아래 표는 절기에 따른 음력(월)의 변화를 표로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음력 1월(인월이라고 함)은 입춘(2월 4일경)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12절기표]

 

 

 

다음은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표인데 과거 30년 보다 최근 30년의 평균기온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여름은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지는 등 과거 절기에 맞춘 계절의 변화를 직접 체감적으로 느끼기에는 덜 민감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역적 차이도 있을 수 있고, 노력 여하에 따라 온실가스 등 환경문제도 각 국가에서 고려하고 있는 만큼, 그래프 상의 큰 계절의 변화는 절기에 맞추어 여전히 움직이고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