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스터디/tool

패션(Fashion)산업 특징 및 시장규모

by hkchief 2022. 4. 4.
반응형

패션산업은 브랜드를 보유한 제조기업과 디자인/기획의 서비스 기업 및 판매, 유통기업이 연계된 산업구조를 갖고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서 중소기업이 많이 존재하고 또한 봉제 하청 등의 영세 협력업체와의 협업관계가 중요한 산업이다.

 

보통 패션산업은 인간의 욕망을 대변하여 트렌드 및 유행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치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트렌드(trend)를 형성해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패션이란 스타일, 유행 등을 일컫는 것으로 패션화가 가장  많은 분야가 의복이므로 패션이라는 말은 의복 스타일 (Clothing Style)이라는 말과 거의 비슷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패션산업은 아래와 같이 원사에서 방적, 방직 단계를 거쳐  원단을 생산하고 그 원·부재료를 사용하여 패턴 봉제가공을 거쳐 완제품의 출시 과정을 거친다.

 

 흔히 패션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이라 일컫는데, 이는 브랜드 가치가 기업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0% 이상이며, 제품 생산 단계별로 기술 발달에 따른 혁신적 기술이 필요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패션산업 단계별 사용되는 혁신기술

 

□ 생산 스트림 : 원사 --> 방적, 방직 -->  원단(1차 제품)--->  완제품(2차 제품)이 생산되는 프로세스

  •    업스트림(UP-Stream) : 원료, 원사 생산
  •    미들스트림(Middle-Stream) : 직조 및 염색가공
  •    다운스트림(Down-Stream) : 봉제 생산 

 

□ 유통 스트림 : 제품이 도소매상의 온오프라인을 통한 유통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프로세스

 

다음으로 소재와 봉제가공으로 나누어 혁신적 기술을 살펴보면

소재 쪽은 섬유공학의 혁신(Fiber), 직조의 혁신, 염색가공 분야에서 혁신적 기술이 요구되며, 봉제가공 쪽은 기술 발달에 따른 패턴 및 봉제의 혁신이 요구된다. 즉 단계별로 신소재의 발굴과 기술개발을 통한 원사의 차별화, 고부가가치의 디자인 기획 및 창출이 요구된다.

 

보통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으로 대별되며 신발 가방 등의 패션 소품이 추가되는데 이러한 패션제품은 유통사 등에 입점되거나 전시회에서 구획 지정을 위해 가격대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용어들은 아래와 같다. 

 

  • High-end,  Prestige제품 : 최고가를 형성 
  • Majors, Bridge : 고가격대보다 한 단계 낮은 금액이고, 가격경쟁이 치열하다
  • 컨템포러리 (Contemporary) : 젊고 트렌디한 가격을 형성하며 상품군이 다양한 캐주얼 라인(Casual Line)을 형성
  • Moderate, Budget : 대중적인 소재 사용, 저가격을 형성하며, 유통 spa제품 
반응형

​    

 

패션 시장규모 파악

 

제품의 전체 시장 규모 또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타깃시장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알 수 있어야 자사 제품의 시장점유율과 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패션산업이라면 의류제품에 국한할지 기타 패션 소품을 포함할지 먼저 정의해야 한다. 아래 표는 남녀 정장 및 캐주얼복, 스포츠복, 신발, 가방 등을 포함해서 아동복까지를 범주로 하여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2021년도의 국내 패션시장규모를 총 43조 원으로 추산한 것과 그 성장률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반응형

댓글